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항해플러스
- 프로그래머스
- JavaScript
- redux-saga
- createSlice
- 이코테
- react-router
- 알고리즘
- json-server
- programmers
- react
- redux-toolkit
- redux
- 테코테코
- 매일메일
- react-redux
- java
- C++
- Algorithm
- sw expert academy
- 리액트
- Get
- 자바
- 항해99
- axios
- useDispatch
- 코딩테스트합격자되기
- maeil-mail
- SW
- Python
- Today
- Total
Binary Journey
book.003 <울트라러닝> 자기주도 학습의 기술 본문
울트라러닝
세계 0.1%가 지식을 얻는 비밀
최근 울트라러닝(Ultralearning) 을 읽고 학습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을 하게 되었다.
단순히 시간을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배우고 실제로 적용할 수 있을지를 연구해 보려 했다.
이 책은 학습을 고도의 집중과 실험을 통해 능력을 극대화하는 과정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울트라러닝에서 제시하는 9가지 법칙을 나의 학습 과정에 적용하면서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세워 보려 한다.
1. 메타학습(Meta-learning): 학습 지도를 먼저 그려라
책에서는 학습을 시작하기 전에 메타학습을 먼저 하라고 강조한다.
메타학습이란, '내가 배우려는 것이 무엇인지', '어떤 방식으로 배우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지' 먼저 조사하는 과정이다.
기존 데일리 플랜을 수정할 때 이 원칙을 반영하여 학습 목표를 명확히 하고, 기존 방법을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 현재 나의 학습 메타맵
- 구직 관련 학습 → 코딩테스트, 시스템 설계, 기술 면접 준비
- 자격증 취득 → 리눅스 마스터, SQLP (실무 활용 목적)
- 영어 공부 → 토플 리딩 & 스피킹
- 꾸준한 개발 역량 강화 → 블로그 포스팅 & 프로젝트 진행
나는 각각의 학습 목표에 맞는 최적의 학습 방법을 찾고 적용하는 과정에 있다. 단순한 정보 수집이 아니라, 어떤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지 실험하고 조정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2. 집중(Focus): 짧은 시간에 높은 집중도를 유지하라
스콧 영은 학습에 대한 깊은 몰입을 강조한다. 단순히 하루에 몇 시간을 공부하는지가 아니라, 그 시간 동안 얼마나 깊이 집중했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말한다.
📌 이를 반영한 나의 학습 전략
- 미라클 모닝 적용 → 아침 6시에 기상 후 독서 혹은 토플 공부
- 30~90분 단위의 집중 학습 → 한 번에 90분 이상 공부하는 대신, 25~45분 단위로 몰입
- 학습 전 루틴 설정 → 토플 공부 전 NPR 라디오로 워밍업
- 디지털 최소화 → 학습 중 SNS 및 메시지 차단
위 방식을 적용한 이후에 학습 집중도가 크게 향상되었는지 사전 체험 과정의 일주일을 지내볼 예정이다.
미라클모닝 시작한 지 이제 일주일 정도 됐고 다행히도 생활루틴로서 잘 자리를 잡았다.
3. 직접 학습(Direct Learning): 배운 것을 바로 실행하라
울트라러닝은 이론을 배우는 것보다 실전에 바로 적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말한다.
학습한 내용을 실험해보지 않으면 진짜 배운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 실행 중심 학습 적용
- 코딩테스트 → 개념 학습 후 바로 문제 풀이
- 리눅스 마스터 → 이론 학습 후 터미널에서 실습 진행
- SQLP 공부 → 데이터베이스 쿼리 직접 작성하여 테스트
- 영어 공부 → 단순 단어 암기 X, 영어 원서 읽기, 실제 회화 연습 진행
배운 내용을 즉시 적용하는 과정에서 학습의 깊이가 달라질 수 있다.
단순한 개념 이해에서 끝나지 않고 실제로 써먹을 수 있어야 진짜 배운 것이라는 것을 깨달을 수 있기 때문이다.
4. 특화 학습(Specialized Learning): 취약점을 공략하라
울트라러닝에서는 자신의 약점을 먼저 파악하고, 집중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학습 속도를 극대화하는 방법이라고 강조한다.
📌 앞으로의 약점 개선
- 알고리즘 문제 풀이 → 어려운 유형 위주로 학습 (DP, 그래프, 트리)
- SQL 최적화 → 단순 쿼리 작성이 아니라, 성능 튜닝 연습
- 토플 스피킹 → 자주 틀리는 발음과 표현 보완, 다양한 유의어 학습
- 리눅스 명령어 숙달 → 실전에서 자주 쓰이는 명령어 위주로 연습
개념 공부 이후 단순히 익숙한 부분만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어려운 부분을 먼저 개선하는 방식으로 전환이 필요해 보였다.
일단 개념 학습을 완료한 이후에 위 과정으로 심화 학습을 할 예정이다. 어려운 것을 먼저 해결하면 전체적인 학습 효율이 올라간다!!
5. 인출(Recall): 배운 것을 기억에서 꺼내라
책에서는 배운 내용을 다시 떠올리는 과정(인출 연습)이 기억을 강화하는 핵심 방법이라고 설명한다.
📌 이를 반영한 나의 학습 방식
- 자기 테스트 → 배운 내용을 노트 없이 직접 설명해보기
- 면접 대비 Q&A → 예상 질문에 대해 스스로 답변 정리
- 블로그 정리 → 학습한 내용을 글로 정리하여 복습
- 스터디 토론 → 학습한 내용을 말로 설명하며 기억 강화
알고리즘 문제 풀이와 독서의 경우 블로그로 정리하면서 복습하는 효과를 톡톡히 보았다.
단순히 노트 필기를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기억을 끄집어내는 과정이 학습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것을 체감했다.
나머지 방법도 얼른 실천해 봐야지💪
6. 피드백(Feedback): 즉각적인 조언을 받아라
울트라러닝에서는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빠르게 성장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특히 부정적인 피드백을 피하지 말고 오히려 활용해야 한다.
📌 앞으로의 피드백 활용법
- 코딩테스트 풀이 후 코드 리뷰 진행
- 스터디원들과 피드백 세션 진행 (서로의 풀이 방식 비교)
- 기술 면접 연습 후 피드백 받기
- 영어 스피킹 녹음 후 발음 피드백 확인
테코테코 활동하면서 코드 리뷰는 무서워도 받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기술면접은 아직은 무섭긴 하다🥲
그래도 열심히 부딪혀 보자.
7. 유지(Retention): 배운 것을 장기 기억으로 전환하라
울트라러닝에서는 배운 것을 빠르게 잊지 않도록 체계적으로 복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 나의 유지 전략
- 반복 학습 스케줄 적용 → 학습 후 1일, 3일, 1주일, 1개월 후 복습
- 자격증 공부 → 8-4-2-1 공부법 & 문제 풀이 위주
- 학습한 내용을 일상에서 사용하기 → 학습과 실제 사용을 연결
공시생 수험 경험이 여기서 드디어 빛을 보는 것 같다. 정처기 때도, SQLD 때도 그렇고 전효진쌤의 8-4-2-1 공부법을 톡톡히 써먹었다. 벼락치기로 6-3-2-1 공부로 변환해서 했지만😛
8. 실험(Experiment): 새로운 방식으로 배워라
마지막으로 울트라러닝의 핵심은 기존 학습 방식을 벗어나 새로운 방법을 실험하는 것이다.
📌 현재 적용 중인 실험
- AI 활용 학습 → GPT를 활용한 스터디 진행
- AI 스터디 매니저 방식 실험 → GPT를 활용하여 뇌과학 바탕으로 학습을 관리하며 배우기
- AI 활용 영어 공부 방식 변경 → 책 읽기 대신, AI 음성 변환 활용(스픽!)
끊임없이 새로운 학습 방식을 실험하면서, 나에게 맞는 최적의 방법을 찾는 과정이 진행 중이다.
AI 스터디 매니저는 아주 잘 써먹고 있다. 뇌과학 바탕으로 부탁하니 일상에서 몰입이 가장 잘 되는 시간에 학습을 하고 그 외는 5분의 법칙이라 하여 하기 싫은 일도 일단 5분은 해보도록 권하는 방식으로 일정을 만들어 주고 있다.
다음은 프롬프트 예시이다.
영어의 경우 토플 지문 스크립트와 학습할 단어 목록을 뉴스레터로 만들어주고 있다. 스픽은 구독해놓고 안 쓴 게 몇 개월인데 앞으로 잘 활용해보려고 한다.
학습은 변화하는 과정이다
지금 단순한 학습이 아니라, 학습법을 끊임없이 실험하고 개선하는 과정에 있다. 울트라러닝 을 단순히 한 번 적용하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학습 방식 자체를 발전시키는 원칙이 되었다.
자기 주도 학습과 자기 주도 시간 관리가 이리 어려운 거였다니. 앞으로의 인생을 아깝지 않기 보내기 위해 작은 노력부터 하고 있다.
예전에 어머니가 가정학과 과정에서 시간관리에 관한 교육과정이 있다고 하여 지금 찾아보는 중이다. 이것도 읽고 마저 진행해보려 한다.
그 때도 블로그 포스팅을 할테니 많관부
'boo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ok.002 <건지 감자껍질 파이 북클럽> 책이 나를 찾아오는 순간 (2) | 2025.02.01 |
---|---|
book.001 <시작의 기술> 미루는 습관에서 벗어나고 싶다면 (2) | 2025.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