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Python
- maeil-mail
- 코딩테스트합격자되기
- sw expert academy
- redux-saga
- react-router
- react-redux
- 이코테
- redux-toolkit
- Algorithm
- 항해99
- 프로그래머스
- 알고리즘
- json-server
- redux
- createSlice
- 테코테코
- Get
- 리액트
- JavaScript
- react
- programmers
- axios
- java
- C++
- 항해플러스
- SW
- 매일메일
- 자바
- useDispatch
- Today
- Total
목록programmers (5)
Binary Journey
출처: 프로그래머스 코딩 테스트 연습,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hallenges answer = 0 # 답 N = 0 # 던전 개수 visited = [] # 방문처리 def dfs(k, cnt, dungeons): global answer if cnt > answer: # 최대 방문 던전 수 경신 answer = cnt for j in range(N): # 최소 피로도 조건 충족, 방문하지 않은 던전 if k >= dungeons[j][0] and not visited[j]: visited[j] = 1 dfs(k - dungeons[j][1], cnt + 1, dungeons) # 다른 곳부터 시작했을 때 모든 경우의 수를 따짐 visited[j] = 0..
출처: 프로그래머스 코딩 테스트 연습,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hallenges def solution(number, k): answer = [] for num in number: if not answer: answer.append(num) continue if k > 0: while answer[-1] < num: answer.pop() k -= 1 if not answer or k 0 else answer return ''.join(answer) * 스택을 활용 * k 횟수가 0보다 크고 answer의 마지막보다 큰 수가 나타났을 때 pop 참고: https://velog.io/@soo5717/%ED%94%84%EB%A1%9C%EA%B7%B8%EB%9E..
출처: 프로그래머스 코딩 테스트 연습,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hallenges from itertools import permutations def solution(numbers): answer = [] nums = [n for n in numbers] per = [] for i in range(1, len(numbers)+1): per += list(permutations(nums, i)) new_nums = [int(("").join(p)) for p in per] for n in set(new_nums): if n < 2: continue check = True for i in range(2, int(n**0.5) + 1): if n % i == 0..
출처: 프로그래머스 코딩 테스트 연습, https://programmers.co.kr/learn/challenges ** Javascript 3진법이라는 알았는데 for문으로 접근했다가 시간을 너무 오래 잡아먹었다. 결국 구글링해서 답을 알아냈는데 생각보다 더 간단했다. while 을 사용하면 이렇고 function solution(n) { const availableNumber = [ 4, 1, 2 ]; let answer = ''; while (n) { answer = availableNumber[n % 3] + answer; n = n % 3 ? Math.floor(n / 3) : n / 3 - 1; } return answer; } 더 줄이면 이렇게 된다. 추천 가장 많이 받은 식인데 재귀함수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