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maeil-mail
- json-server
- react-redux
- 자바
- java
- createSlice
- redux-saga
- redux-toolkit
- Python
- 테코테코
- Get
- react
- 코딩테스트합격자되기
- Algorithm
- SW
- 프로그래머스
- sw expert academy
- axios
- JavaScript
- 매일메일
- programmers
- redux
- 항해99
- 이코테
- 리액트
- 항해플러스
- C++
- 알고리즘
- react-router
- useDispatch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02)
Binary Journey
💡 매일메일은 기술면접 관련 질문을 메일로 매일 보내주는 구독 서비스입니다.💡매일메일 챌린지는 제 개인적인 챌린지로 매일메일에서 보내주는 하루치 메일에 대한 답변을 블로그 포스트로 작성합니다. 갭락(Gap Lock)과 넥스트키 락(Next-Key Lock)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Phantom Read를 방지하나요?(2024.12.19 질문)나의 답안갭 락(Gap Lock은 특정 인덱스 레코드 사이의 간격을 잠그는 범위 락킹 메커니즘으로 다른 트랜잭션이 새로운 레코드가 동일한 범위의 인덱스 레코드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합니다.넥스트키 락(Next-Key Lock)은 Record Lock(레코드 락)과 Gap Lock의 조합으로 특정 인덱스 레코드를 잠글 뿐만 아니라 인덱스 레코드 앞뒤 사이의 간격도..
💡 inflearn 김영한의 실전자바 로드맵을 따라 학습하고 복습한 내용을 적었습니다. 연산자 산술 연산자산술 연산자는 주로 숫자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실무에서 주로 다루는 연산자산술 연산자: +, -,*, /, %증감 연산자: ++, --비교 연산자: ==, !=, >, , >=, 논리 연산자: &&, ||, !대입 연산자: =, +=, -=, *=, /=, %=삼항 연산자: ? :// 변수 초기화 int a = 5; int b = 2; // 덧셈 int sum = a + b; System.out.println("a + b = " + sum); // 뺄셈 int diff = a - b; System.out.println("a - b = " + diff); // 곱셈 int mu..
💡 inflearn - 김영한의 실전 자바 로드맵을 따라 학습하고 질문을 뽑아 답하며 복습합니다.💡 학습내용은 섹션 1부터 섹션3까지이며 정리 내용은 여기에 작성하였습니다. JVM "Java의 플랫폼 독립성이 가능한 이유를 설명해주세요."OS에 맞는 JRE가 설치되어 있다면 JRE내 JVM을 사용하여 자바 프로그램을 제약 없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자세히 설명하자면 Java의 컴파일 과정 중 Java 소스코드(.java)는 바이트코드(.class)로 컴파일됩니다. 이 바이트코드는 중간 언어(Intermediate Language)형태로 특정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은 중립적인 형태입니다. 각 운영체제별로 제공되는 JVM이 바이트코드를 해당 운영체제에 맞는 기계어로 변환해줍니다. JVM이 운영..
💡 inflearn 김영한의 실전자바 로드맵을 따라 학습하고 복습한 내용을 적었습니다.Hello World💡 프로그램 언어는 손으로 작성해야 합니다.자바 프로그램 실행public class HelloJava { // HelloJava 클래스의 범위 시작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main 메서드의 범위 시작 System.out.println("hello java"); } // main 메서드의 범위 끝 } // HelloJava 클래스의 범위 끝자바 언어는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public class HelloJava파일명과 클래스 이름이 같아야 한다.{} 블록을 사용해서 클래스의 시작과 끝을 나타낸다. publi..
1. 문제 (과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부딪혔던 기술적인 문제)이번 주차를 지나며 겪었던 문제가 무엇이었나요? 이벤트 위임이 너무 어려웠다!!!!! 아직도 100% 이해하진 못한 것 같다. 2. 시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시도를 하셨나요? 다른 분들 코드도 참고하고, 참고 자료도 읽고 gpt 에게 많이 물어봤다. 이번엔 claude 라는 새로운 친구와 친해졌다. 3. 해결문제를 어떻게 해결하셨나요? ai 친구들도 어디서 문제인지 잘 모르길래 console log를 찍으며 역으로 추적했다.이벤트 제거가 안되는 것이 문제였는데 다른 소스에서 이벤트리스너를 추가했던 부분이 원인이었습니다. 지우고 나니 심화과제 테스트 통과율이 0%로 돌아와서 백지 상태로 다시 시작했다^^ 4. 알게된 것문제를 해결하기 위..
Weekly I Learned && What I Learned 1. 문제 (과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부딪힌 기술적 문제)이번 주차에 겪은 문제는? 1주차 과제는 프레임워크 없이 SPA 만들기였다. VanillaJS로만 작업했는데, 기본적인 자바스크립트와 리액트 지식이 부족해 설정부터 어려웠다. 일단 HTML 템플릿을 기반으로 화면 렌더링은 했으나,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로 리팩토링하는 부분에서 큰 어려움을 겪었다. 프론트엔드 3년차라고 말할 수 있을까? 이전에 내가 설계한 컴포넌트는 그저 화면을 그리는 데 불과했다. 성능 최적화나 이벤트 처리 등 제대로 해본 적이 없었고, 리액트 훅에만 의존한 코드였음을 깨달았다.2. 시도와 해결문제 해결을 위해 어떤 시도를 했는가? 다행히 먼저 PR을 올린 분들의 구..
지금까지의 회고항해플러스의 프로그램에 다시 참여하게 되었다. 바로 직전에 백엔드 5기에 참여했었는데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서 내가 얼마나 부족하고 무엇이 필요한지를 알게 되었다. 결국 퇴사까지 하게 되었는데 아마 항해를 하지 않았다면 계속 우물 안 개구리가 아닌 우물 안 올챙이로 살지 않았을까 싶다. 내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 메타 인지라는 게 얼마나 중요하기 때문에 앞으로도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많은 사람들과 네트워킹하며 내 자신을 돌아볼 수 있었으면 한다. 항해 플러스 참여 계기약 5년 전에 국비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개발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게 되었고 운 좋게 바로 취업하여 개발자의 업무라는 것을 대강 알게 되었지만 내가 어느 위치인지 알 수 없었고 스스로 성장하는 방법도 전혀 몰랐다. 학습은..
"한 번의 실수는 배움이, 두 번의 실수는 실력이 된다." → 개선 사항 추적과 리마인드를 통해 동일한 문제나 같은 실수를 반복하는 결과를 만들지 않습니다."경험이 없다면 창조도 없다."→ 경험한 것을 기록해두면 더 잘 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결시킬 수 있습니다."I may be wrong."→ 끊임없는 회고를 통해 자기객관화를 달성하고, 자신의 실수와 잘못을 인정할 줄 아는 용기 있는 사람이 됩니다. WIL | Weekly I Learned 문제AOP, Filter, Interceptor, logback 다 처음 듣는 개념이었다. 시도모르니까 일단 부딪히기. 시간이 더 있으면 좋겠다.리팩토링에 시간을 더 많이 써서 아쉽다. 해결다른 조 멘토링 도강해서 어느 패키지에 들어가야 할지, 어떻게 구현해야할지..
"한 번의 실수는 배움이, 두 번의 실수는 실력이 된다." → 개선 사항 추적과 리마인드를 통해 동일한 문제나 같은 실수를 반복하는 결과를 만들지 않습니다. "험이 없다면 창조도 없다."→ 경험한 것을 기록해두면 더 잘 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결시킬 수 있습니다. "I may be wrong."→ 끊임없는 회고를 통해 자기객관화를 달성하고, 자신의 실수와 잘못을 인정할 줄 아는 용기 있는 사람이 됩니다. 문제필수사항만 개발하는데 일단 시간이 엄청 부족했다. (재직자 과정..맞죠?)JPA 다뤄본 적이 없어서 해당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시간이 꽤 걸렸다. 시도일차적으로 구글링부터 진행을 했는데 제대로 된 오류를 찾아 디버깅하는 것인지 의구심이 생겨서 로그 레벨을 debug로 바꿔서 전체 로그를 봤다. 해결..
WIL | Weekly I Learned"한 번의 실수는 배움이, 두 번의 실수는 실력이 된다." → 개선 사항 추적과 리마인드를 통해 동일한 문제나 같은 실수를 반복하는 결과를 만들지 않습니다."경험이 없다면 창조도 없다."→ 경험한 것을 기록해두면 더 잘 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결시킬 수 있습니다."I may be wrong." → 끊임없는 회고를 통해 자기객관화를 달성하고, 자신의 실수와 잘못을 인정할 줄 아는 용기 있는 사람이 됩니다. 1. 문제ERD를 먼저 설계 한 뒤 요구사항명세서, API 명세서, 시퀀스 다이어그램을 작성해서 ERD 설계에 갇혀 다른 문서 작업 시 생각하지 못한 변수로 인해 문제에 봉착했고 시간이 지연되었다.시퀀스 다이어그램과 플로우차트의 차이를 알지 못해 시퀀스 다이어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