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axios
- sw expert academy
- redux-toolkit
- programmers
- redux-saga
- redux
- 알고리즘
- Python
- 항해플러스
- 테코테코
- 항해99
- Get
- 자바
- SW
- react-redux
- 프로그래머스
- react-router
- 이코테
- createSlice
- Algorithm
- useDispatch
- java
- json-server
- 매일메일
- react
- JavaScript
- C++
- 리액트
- maeil-mail
- 코딩테스트합격자되기
- Today
- Total
Binary Journey
[코딩테스트합격자되기-자바편] 문제06. 실패율 본문
💡 해당 풀이는 코딩 테스트 합격자되기 - 자바편 에서 발췌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문제
출처: 프로그래머스 - 실패율
내용
슈퍼 게임 개발자 오렐리는 큰 고민에 빠졌습니다. 그녀가 만든 프랜즈 오천성이 대성공을 거뒀지만, 요즘 신규 사용자의 수가 급감했기 때문입니다. 원인은 신규 사용자와 기존 사용자 사이에 스테이지 차이가 너무 큰 것이 문제였습니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할까 고민 한 그녀는 동적으로 게임 시간을 늘려서 난이도를 조절하기로 했습니다. 역시 슈퍼 개발자라 대부분의 로직은 쉽게 구현했지만, 실패율을 구하는 부분에서 위기에 빠지고 말았습니다. 오렐리를 위해 실패율을 구하는 코드를 완성하세요.
- 실패율 정의 : 스테이지에 도달했으나 아직 클리어하지 못한 플레이어의 수 / 스테이지에 도달한 플레이어 수
전체 스테이지의 개수 N
,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현재 멈춰있는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긴 배열 stages
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 때 실패율이 높은 스테이지부터 내림차순으로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겨있는 배열을 반환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약 사항
- 스테이지의 개수 N은
1
이상5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 stages의 길이는
1
이상200,000
이하이입니다. - stages에는
1
이상N + 1
이하의 자연수가 있습니다.- 각 자연수는 사용자가 현재 도전 중인 스테이지의 번호를 나타냅니다.
- 단,
N + 1
은 마지막 스테이지(N 번째 스테이지) 까지 클리어 한 사용자를 나타냅니다.
- 만약 실패율이 같은 스테이지가 있다면 작은 번호의 스테이지가 먼저 오면 됩니다.
- 스테이지에 도달한 유저가 없는 경우 해당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0
으로 정의합니다.
입출력의 예
N | stages | result |
---|---|---|
5 | [2, 1, 2, 6, 2, 4, 3, 3] | [3, 4, 2, 1, 5] |
4 | [4, 4, 4, 4, 4] | [4, 1, 2, 3] |
첫 번째 입출력 예를 보면 1번 스테이지에는 총 8명의 사용자가 도전했으며 이 중 1명의 사용자가 아직 클리어하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1번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번 스테이지 실패율 : 1/8
2번 스테이지에는 총 7명의 사용자가 도전했으며, 이 중 3명의 사용자가 아직 클리어하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2번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2 번 스테이지 실패율 : 3/7
마찬가지로 나머지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3 번 스테이지 실패율 : 2/4
- 4번 스테이지 실패율 : 1/2
- 5번 스테이지 실패율 : 0/1
각 스테이지의 번호를 실패율의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3, 4, 2, 1, 5]
두 번째 입출력 예를 보면 모든 사용자가 마지막 스테이지에 있으므로 4번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1이며 나머지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0입니다.
- [4, 1, 2, 3]
기록하기
💡 어디까지 생각해봤는지 단계적으로 기록해봅니다.
- 통과 stage 체크하기
- 실패 stage 체크하기
- 스테이지별 실패율 계산하기
- 실패율 내림차순으로 정렬해서 인덱스 반환하기
풀이
풀이 시간
시작 시각 | 종료 시각 | 총 소요 시간 |
---|---|---|
22:14 | 23:22 | 68분 |
문제 분석
제약 사항 파악 & 테스트 케이스 작성
- 스테이지의 개수 N은
1
이상5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 stages의 길이는
1
이상200,000
이하이입니다. - stages에는
1
이상N + 1
이하의 자연수가 있습니다.- 각 자연수는 사용자가 현재 도전 중인 스테이지의 번호를 나타냅니다.
- 단,
N + 1
은 마지막 스테이지(N 번째 스테이지) 까지 클리어 한 사용자를 나타냅니다.
- 만약 실패율이 같은 스테이지가 있다면 작은 번호의 스테이지가 먼저 오면 됩니다.
- 스테이지에 도달한 유저가 없는 경우 해당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0
으로 정의합니다.
입력값 분석
💡 입력값을 분석하면 문제에서 요구하는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N | stages | result |
---|---|---|
5 | [2, 1, 2, 6, 2, 4, 3, 3] | [3, 4, 2, 1, 5] |
4 | [4, 4, 4, 4, 4] | [4, 1, 2, 3] |
의사 코드 작성
💡 의사 코드는 동작 중심으로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의사 코드는 문제 해결 순서로 작성합니다.
💡 의사 코드를 충분히 테스트해봅니다.
solution(N, stages) {
try = new int[N]
success = new int[N]
for (stage: stages) {
for (i <= stage) {
try[i-1] += 1
success[i-2] += 1
}
}
fail = new int[N]
for (i < N) {
// 0 체크 필요
// 실패율
fail[i] = success[i] / try[i]
}
// 실패율 정렬
return 정수형배열
}
구현
import java.util.Arrays;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int[] stages) {
double[] tried = new double[N + 1];
double[] failed = new double[N + 1];
for (int stage : stages) {
for (int i = 0; i < stage; i++) {
if (i + 1 <= stage) {
tried[i] += 1;
}
if (i + 1 == stage) {
failed[i] += 1;
}
}
}
double[][] failRate = new double[N][2];
for (int i = 0; i < N; i++) {
if (tried[i] == 0) {
failRate[i][1] = i + 1;
continue;
}
failRate[i][0] = Double.valueOf(failed[i] / tried[i]);
failRate[i][1] = i + 1;
}
// 실패율 내림차순, 스테이지 번호 오름차순으로 정렬
Arrays.sort(failRate, (a, b) -> {
if (a[0] != b[0]) {
return Double.compare(b[0], a[0]); // 실패율 내림차순
}
return Double.compare(a[1], b[1]); // 스테이지 번호 오름차순
});
// 정렬된 스테이지 번호만 추출
return Arrays.stream(failRate)
.mapToInt(x -> (int) x[1])
.toArray();
}
}
복기하기
답안과 나의 풀이를 비교해보세요
import java.util.HashMap;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int[] stages) {
// 1. 스테이지별 도전자 수를 구함
int[] challenger = new int[N + 2];
for (int stage : stages) {
challenger[stage] += 1;
}
// 2. 스테이지 별 실패한 사용자 수 계산
HashMap<Integer, Double> fails = new HashMap<>();
double total = stages.length;
// 3. 각 스테이지를 순회하며, 실패율 계산
for (int i = 1; i <= N; i++) {
if (challenger[i]== 0) { // 4. 도전한 사람이 없는 경우, 실패율은 0
fails.put(i, 0.);
} else {
fails.put(i, challenger[i] / total); // 5. 시랲율 구함
total -= challenger[i]; // 6. 다음 스테이지 실패율을 구하기 위해 현재 스테이지의 인원을 뺌
}
}
return fails.entrySet().stream()
.sorted((o1, o2) -> Double.compare(o2.getValue(), o.getValue()))
.mapToInt(HashMap.Entry::getKey)
.toArray();
}
}
- challenger 배열을 초기화하고 각 스테이지 도전자 수 계산 시 시간 복잡도는 O(N + M)
- 스테이지 별로 실패율을 계산하는 데 필요한 시간 복잡도는 O(N)
- 실패율을 기준으로 스테이지 정렬 시 시간 복잡도는 O(NlogN)
- 연산 모두 고려 시 시간 복잡도는 총 O(M + NlogN)
요약하기
- challengers 와 total 만 있어도 간단하게 풀렸을 건데 생각을 못했다.
- int / int 는 int 형으로 반환하는 것을 주의하자.
'Algorithm > 코딩테스트합격자되기-자바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딩테스트합격자되기-자바편] 문제08. 올바른 괄호 (0) | 2025.01.04 |
---|---|
[코딩테스트합격자되기-자바편] 문제07. 방문길이 (0) | 2025.01.02 |
[코딩테스트합격자되기-자바편] 문제05. 행렬의 곱셈 (0) | 2024.12.26 |
[코딩테스트합격자되기-자바편] 문제04. 모의고사 (1) | 2024.12.26 |
[코딩테스트합격자되기-자바편] 문제03. 두 개 뽑아서 더하기 (0) | 2024.12.26 |